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례상차리는법
- 제사음식
- 종추
- 차례순서
- 갓난아기 #신생아 #신생아금기 #독성 #치명 #음식 #조심 #조사 #대한민국 #엄마분들 #화이팅 #존경합니다. #어머니 사랑합니다. #소중한아기 #새생명 #분유 #모유 #돌잔치 #꿀 #물 #계란 #견과류 #계
- 조추
- 신생아 #아기 #갓난아기 #성장 #발달 #반사 신경 #체중 #시력 #외모 #환경 #온도 #습도 #수면 #배꼽 #볼록한배 #눈 #코 #입 #모로 반사 # 목경직반사 #파악 반사 #바빈스키 반사 #포유 반사 #흡인반사 #
- 가배
- 차레상
- 차례
- 중추
- 가위
- 명절
- 중추절
- 추석
- 한가위
- 복숭아 #키위 #돼지고기 #고등어 #생우유 #자세히알아보기 #1살
- 아기 #영유아 #놀이 #성장발달 #재미 #관심사 #성장과정 #언어 표현 #정서발달 #식사의즐거움 #심리 #사랑 #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6)
like-it

나시고랭의 정의. 나시고렝은 인도네시아의 음식인 볶음밥이다. 나시고렝은 뜨라시(새우를 발효하여 만든 페이스트), 토마토케첩, 크찹 마니스(단맛이 나고 점성이 있는 간장), 삼발(고추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든 매콤한 소스) 등 다양한 소스를 사용해 만든 볶음밥은 매콤, 달콤, 짭짤, 새콤함이 어우러져 복합적인 맛이 난다. 나시고렝의 확실한 기원은 밝혀지진 않았지만 10~15세기쯤 중국식 볶음밥이 인도네시아로 건너와 현지식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전해온다. 인도네시아에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전날 먹고 남긴 식재료와 밥을 볶아 나시고렝을 만들어 아침에 식사 대용으로 먹었으나, 오늘날에는 아침에 국한하지 않고 언제든지 즐겨 먹는 메뉴가 되었다. 나시고렝의 어원. 인도네시아어로 나시(nasi)는 "밥"을 의미하고, ..

솜탐의 정의. 솜탐은 덜 익어 푸른빛이 도는 그린 파파야로 만드는 태국식 샐러드이다. 본래 라오스와 라오스 접경지역인 태국 동북부 이산 지역의 요리였으나 라마 2세의 재위 기간 중에 태국 전역으로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솜탐은 입에 넣었을 때 마늘과 고추의 매콤함과, 라임의 새콤함, 피시소스의 짭짤함, 종려당의 달콤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맛의 조합이 특징인 음식이다. 날씨가 덥고 뜨거운 태국에서 솜탐 특유의 매운맛과 신맛은 입맛을 돋게 하는 역할을 하고 주로 쌀밥을 곁들이거나 고기, 생선 요리와 함께 먹기도 한다. 솜탐의 어원. 신맛이 강한 라임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재료를 찧어서 만드는 솜탐은 '신맛이 나는 것'이라는 뜻을 가진 솜(som)과 '빻다'라는 뜻을 가진 탐(tam)이 결합된 말이다..

팟타이의 정의. 태국의 대표적인 볶음 쌀국수로 피시소스(fish sauce)의 짠맛, 신맛, 단맛이 어우러져야 복합적인 맛이 난다. 태국의 대표 전인 메뉴로 알려졌는데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1940년대에 피분 송크 총리가 주도한 민족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전략적으로 대중화시킨 음식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팟타이는 고급 요리라고 보기는 힘들다. 길거리나 시장 등 노점에서 가볍게 사 먹을 수 있는 대중적인 요리이다. 팟타이는 전 세계의 관심을 받으면서 가장 많이 알려진 태국 요리 중 하나이다. 팟타이의 어원. 팟타이에서 팟(pad)은 '볶음'이라는 뜻이고 타이(thai)는 '태국'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팟타이는 태국식 볶음이라고 해석 할수있다. 이처럼 태국이라는 의미가 포함된 이름으로 인해 팟타이가..

허브란? 허브는 '푸른 풀'이라는 라틴어인 허바(Herba)에서 유래되었고, 향과 약초라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과거에는 약초나 관상용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현재는 식용으로 가치가 있고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금은 세계적으로 약용과 식용으로 사용되는 허브류(향신료)는 약 140여 가지나 알려져 있다. 라벤더, 로즈메리, 바질, 타임 등 흔히 접할 수 있는 종류부터 마조람, 딜, 펜넬, 터버릭, 넛메그 등 생소하고 다양한 종류들이 요리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미나리나 쑥, 생강 등도 동양의 허브라고 칭할 수 있다. 허브는 육류, 생선류, 해물류의 잡내를 제거하고, 풍미를 더욱 좋게 해 주며 또한 허브의 유용한 성분들과 특유의 허브의 향이 음식과 어우러져 맛뿐 아니라 영양에도 좋은 효과를 내고 있다. 허브..

힙합은 '엉덩이를 흔들다'라는 말에서 유래가 되었고, 키프 카우보이라는 MC가 "힙-합"이라는 명칭을 만들었다고 한다. "힙-합"이라는 말이 나오게 된 계기는 친구가 어느 날 군대에 가게 되는데 키프 카우보이가 친구를 놀리면서 '훈련소에서 행군할 때 "힙-합"으로 구령을 외치겠네?' 라며 놀렸는데, 그걸 본 옆 친구들이 폭소하면 웃음이 터졌고 그걸 무대에서 쓰기 시작했고 다른 사람들은 그 말소리를 응용하면서 랩과 브레이킹 문화를 힙합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힙합의 문화와 역사. 시간상으로 보았을 때 블락파티가 처음이었지만, 현재의 시각으로 본다면 힙합 음악은 클럽에서 탄생됐다고 볼 수도 있다. Hip-hop(엉덩이를 흔들다)의 명칭이 시사하듯 힙합 음악의 기반으로 디스코, 펑크, 댄서블 한 재즈 등 ..

팝핀의 시작. 1976년에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 프레즈노에서 샘 솔로몬이라 사람이 처음 일렉트릭 부갈루스라는 팀을 창설하였다. 그는 그의 형제인 피트 솔로몬과 1960년대에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나오는 로봇을 모방한 춤에 빠져 있었다. 그래서 종종 그들을 따라 하곤 했다. 텔레비전 프로에 나온 춤을 정리하고 동작을 구상하고 특성화해서 초기의 팝핀이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 샘이 팝핀을 구상할 때에는 아프리카 원주민들이 신께 의식을 드릴 때 의식 행사로서 팝핀처럼 몸을 튕기는 모습을 보고 팝핀 동작들을 만들었다는 말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일렉트릭 부갈루스의 춤은 두 가지 스타일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동작과 동작 사이를 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부갈루와 근육에 크게 힘을 주며 움직이는 팝핀이 그것이다. 팝핀이..

락킹의 역사. 락킹의 시작은 1970년대 돈 켐벨이 로스앤젤레스에서 어느 나이트클럽에서 추던 켐 밸로 킹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돈 켐벨은 다른 올드 스쿨의 댄서들과 같이 락킹을 췄다. 처음에는 즉흥적인 동작의 켐벨 로킹이 중요시됨으로써 락킹이 발전되었지만 동시에 다른 댄서들은 이러한 즉흥적이고 개인적으로의 춤이 아닌 다른 사람과 함께 맞추어서 출수 있도록 만들고 있었다. 대표적으로는 1972년 고고 브라더스라는 댄스팀을 만들어 다 같이 맞추어 여러 곳에서 공연을 하기도 했다. 1972년 말 ~ 1973년 초에는 스쿠비 두와 그렉 켐밸락 주니어가 처음으로 혼성 락킹 댄스팀을 창단하고, 그 해 여름 돈 켐벨은 댄스 부분 역사상 가장 활동적이고, 영향력 있는 락킹 댄스팀으로 최고의 댄서들과 최고의 안무로..

안녕하세요.딜라일라입니다. 제가 춤에 관심이 많아 춤의 관한 모든 걸 한번 파 헤져 보려고 합니다. 관심 있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B-boy의 유래 B-boy가 처음 시작된 것은 1970년으로 거슬러 가면 당시 흑인들이 지배하고 있던 뉴욕의 어느 뒷골목에 히스패닉계가 몰려들기 시작했습니다. 남미의 경제가 피폐해져 미국으로 불법 이민 가는 히스패닉계가 급 증가한 탓이었습니다. 자연스럽게 흑인들과 히스패닉 사이에서는 처절하게 패권 다툼이 있었는데, 그들에게는 유일하게 '흑인 문화'인 힙합이 유행을 타기 시작했다. 힙합이란 강한 음악과 빠른 비트에 브레이크 댄스 춤을 추던 그들은 오직 춤을 출 때만큼은 서로 총을 겨누거나 칼부림을 하지 않기로 묵계를 맺었다고 합니다. 그들은 상대 ..